다시 한 번 기회가 열리는 느낌이다

PC, 인터넷, 모바일을 이을 다음 기술이 무엇일지 그동안 많은 기대와 전망이 있었다. 블록체인, 메타버스, NFT, 인공지능, VR/AR 이런 것들이 한 번씩 큰 기대와 주목을 받았고 그 때마다 큰 돈을 번 사람들이 몇몇 나왔지만 제대로 자리잡은 기술은 없었다. 그런데 ChatGPT로 인해 향후 10년을 이끌어갈 기술은 인공지능임이 분명해진 것같다. 딥러닝이 주목받은지도 시간이 꽤 지났고, 알파고 이후로 놀라운(돈을 […]

다시 한 번 기회가 열리는 느낌이다 Read More »

내 인생은 누가 계획해주나

회사에서는 매분기마다 목표를 설정하고 세부목표와 실행계획을 세운다.반기단위, 연단위 목표도 당연히 세운다.열심히 분기 계획서를 작성하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내 인생은 누가 이렇게 신경쓰고 계획해주지?” 회사는 내가 없으면 다른 사람이, 그 사람이 나가면 또 다음 사람이 이어서 그 일을 한다.내가 없어도 전혀 상관없는 존재의 미래를 걱정하느라 컴퓨터 앞에 앉아 머리를 쥐어짜면서 정작 나의 인생과 미래를 위한 목표와

내 인생은 누가 계획해주나 Read More »

Fragment에서 권한 요청하기 (2021)

Activity Result를 받아오는 API가 변경되면서 Fragment.requestPermissions도 deprecated 되었다. registerForActivityResult를 호출하고 ActivityResultContracts.RequestPermission을 인자로 전달해야한다. 복수의 권한이 필요한 경우는 Contract를 RequestMultiplePermissions로 바꿔서 사용한다. 하지만 사진/동영상 촬영, 연락처 선택 등 일반적인 케이스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Contract를 활용하는 것으로 커버할 수 있다.

Fragment에서 권한 요청하기 (2021) Read More »

트레이드 오프

트레이드 오프라는 개념을 처음 배울 때는 서로 양립할 수 없다는 사실을 너무 명백히 알 수 있는 케이스들로 배웠던 것 같다. 예를 들면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 또는 일정과 품질과 비용. 시간을 줄이려면 공간을 많이 써야하고, 공간을 아끼려면 시간을 더 써야한다. 일정을 줄이려면 품질이나 비용을 양보해야하고, 품질을 높이려면 일정과 비용을 더 들여야하고, 비용을 줄이려면 품질과 일정을 희생해야한다는 것은

트레이드 오프 Read More »

[Kotlin] for-loop with no additional object allocation

Kotlin provides extension functions for Collection types such as forEach, forEachIndexed, and map. They are convenient but it comes with cost; those functions create additional objects like Iterator. For most cases, it wouldn’t be a serious problem to have some temporary objects. However, when overriding onDraw method of View class, it’s prohibitted to allocate a

[Kotlin] for-loop with no additional object allocation Read More »

Deprecated or Experimental

안드로이드 API는 큰 흐름상으로는 바람직하게 가고는 있지만 여전히 불만인 부분은 마음놓고 쓰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어느 정도 안정화되고 손에 익었다 싶으면 deprecated되고 또 새로운 게 나오는데 새로운 걸 쓰려면 모험을 해야한다. 예전 API를 계속 쓰자니 찝찝하고, 새로운 걸 쓰자니 불안하고. 이런 스트레스를 항상 안고 개발해야하는 게 좀 불만이다.

Deprecated or Experimental Read More »

요즘 안드로이드 앱 개발은

좀 느리긴 해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계속 가고 있는 것 같다. Jetpack에 흥미로운 컴포넌트들이 계속 추가되고 있는데, kotlin 문법을 적절히 활용해서 고급 기능을 간결한 코드로 활용할 수 있게 잘 만들어놓은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것들을 잘만 활용하면 정말 예전과는 확연히 다른 느낌으로 모던하게 개발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직 익혀야 할 것들이 많다. 아직도 자바 스타일의 코딩에서

요즘 안드로이드 앱 개발은 Read More »

다시 이직

새 회사에서는 훨씬 큰 규모의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고 업무량이나 진행속도가 이전 회사보다는 훨씬 빠른 편이다. 더 피곤하고 스트레스 받을 줄 알았는데 오히려 마음이 더 편해지고 다시 개발이 재미있어지려고 한다. (솔직히 요즘에는 개발에 흥미가 많이 떨어진 상태였다.) 일이 힘든 것보다 커리어가 정체되고 발전하는 느낌이 없는게 더 스트레스였던 것 같다. 물론 보상수준이 많이 올라간 이유도 있을 것이다.

다시 이직 Read More »